본문 바로가기
  • "좋은 이름이 성공한 인생을 만든다"

발음오행 길흉 해설4

작명에서 발음오행 ‘水와 土’…‘훈민정음 해례본’을 적용해야 하는 이유 작명에서 발음오행 ‘水와 土’…‘훈민정음 해례본’을 적용해야 하는 이유 ​ ​ ​ ​ ​ 훈민정음 창제원리와 소리오행 ​ ​ 우리나라 성명학에서 가장 논쟁이 심한 것은 역시 우리말 발음오행에 관한 것이다. 이데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면 먼저 소리가 먼저인지 글이 먼저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각 민족의 경우, 소리가 먼저 있었고 그 다음에 문자가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 우리 민족 역시 우리 땅에 존재할 때부터 소리가 먼저 있었다. 그 다음에 문자가 있었다. 우리 민족은 소리를 표기할 문자가 없을 때 한자를 가차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한글을 창제한 이후 우리는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꾸준히 한글을 사용하고자 노력해 왔다. ​ 우리나라의 .. 2023. 11. 13.
훈민정음에서 한글로…(훈민정음 해례본 해석) 훈민정음에서 한글로... ​ 들어가는 글 오늘이 훈민정음이 반포된지 577주년 되는 한글날이다 1446년 창제된지 3년 후 훈민정음이 반포된 바로 그 날이다 이런저런 행사들도 많고 곳곳에서 이 날을 기념한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만든 업적으로 성군으로 추앙된다 오늘 오전에 한글날과 훈민정음에 관련된 이런 저런 글 들을 새로 검색하여 자유게시판에 몇 개 올렸다 며칠 전에도 한글날이 다가오길래 글을 몇 개 자유게시판에 올렸다 그리고 예전 한글날에 써 놓았던 글을 읽다가 지난 며칠 그리고 오늘 읽은 글 들을 함께 섞어서 올리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 작업이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그리고 시간이 많이 걸렸다 개인자료실에서 글을 새로 작성하여 이 곳으로 옮겨다 놓고 읽어보니 영 마음에 들지 않아서 몇 번씩.. 2023. 11. 13.
훈민정음 해례본 해설 훈민정음 해례본 제1편 예의(禮義)편 ​ ​ “국지어음(國之語音) 이호중국(異乎中國) 여문자(與文字) 불상유통(不相流通) 우민(愚民) 유소욕언(有所慾言) 이종불득신기정자(而終不得伸其情者) 다의(多矣) 予(여) 위차민연(爲此憫然) 신제이십팔자(新制二十八字) 욕사인인(慾使人人) 이습(易習) 편어일용이(便於日用耳)” 이 내용의 해석은 아래와 같다. “우리나라의 글과 말소리가 서로 달라서 문자로는 백성들이 서로가 소통하지 못하여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욕심을 가지고 있으면서 뜻이 있는 백성들이 그 뜻을 펼치지 못하고 얻는 것이 없이 끝나는 것이 너무 많아 나는 이러한 근심한 병을 고치기 위해서 새롭게 28글자를 만들어 사람들이 욕심을 가지고 바꾸고 익혀서 매일 말하고 귀로 듣고 알아 편리하게 사용하기를 .. 2023. 11. 13.
발음오행 길흉 해설 발음오행 길흉 해설 발음​오행, 음령오행, 소리오행 모두 같은 말이다. 소리는 직접적인 표현이고, 글자는 간접적인 표현이다. 한 평생 자신의 이름을 부르는 횟수와 이름을 쓰는 횟수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큰 차이가 있듯이 작명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바로 소리기운이다. ​ 성명에는 발음오행이 서로 상생(相生)되어야 길(吉)하다. 음령오행은 소리로 나타나는 음에 따라 을 적용하면 ​ 한글 자음의 [ㄱ, ㅋ]은 목(木) 오행, [ㄴ, ㄷ, ㄹ, ㅌ]은 화(火) 오행, [ㅁ, ㅂ, ㅍ]은 토(土) 오행, [ㅅ, ㅈ, ㅊ]은 금(金) 오행, [ㅇ, ㅎ]은 수(水) 오행이 작용한다. ​ 모든 이름은 옆에 있는 글자와 모두 서로 상생해야 한다. 상생 이론은 목은 화를 생하고, 화는 토를 생하고, 토는 금.. 2022.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