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이야기6 방위가 갖는 행운 작용 방위가 갖는 행운 작용 방위가 갖고 있는 독특한 행운 작용8개의 방위는 음양오행의 상생상극의 원리에 의해서 인간사의 길흉과 신체 질환 여부, 직업에 대한 영향력 등의 힘을 발휘하고 있다. 다시 말해 8방위 각각이 특유의 파워를 발휘해서 하나 집안과 가족 구성원들의 길흉상에 긴밀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방위의 힘은 꼭 주택의 전체 방위에서만 볼게 아 니라 자신이 쓰는 한 칸만을 놓고 볼 때에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으니 행운의 방위력을 염두에 두고 주택을 설 계하거나 방(실내)의 인테리어를 꾸밀 때에 활용한다면 풍요로 운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방위의 작용력을 8방위와 집의 중앙으로 나누어 정리하기로 한다. -태극(집의 중앙) : 인간적인 매력, 개성, 사고력, 정치력, 지도 력.. 2025. 2. 20. 좋은 집터란 어디를 말하는가? 좋은 집터란 어디를 말하는가?터에 대한 인식의 변화시대에 따라서 터에 대한 인식은 변해왔다. 주택 풍수는 양택(陽宅) 풍수라고 하고, 묘지 풍수를 다루는 음택(陰宅) 풍수와는 다르다.지석묘와 움집(한국학중앙연구원)1) 원시시대: 생존과 재난을 피하는 수단으로 주거지를 선택하고 조성했다(예,강화도의 지석묘)[생존풍수/재난풍수]2) 고조선시대: 국선도사상과 홍범사상에 기반하여 하늘과 연계하여 도읍, 양택, 묘소 등을 조성했다(예,천재단)[선도풍수]3) 삼국~고려: 도성이나 양택 위주로 발달하였으며 불교사상에 기반을 두었다.(예,전국 산봉우리의 명칭)[불교풍수] [비보풍수]4) 조선시대: 주자의 산릉의장을 시초로 하여 유교사상에 기반을 두었고 음택이 특히 발달했다(예,묘지소송)[양반풍수]5) 구한말이후.. 2025. 2. 20. 풍수를 위해 지켜야 할 40가지 풍수를 위해 '지켜야 할 것' 40가지 침실> 1. 잠자는 방향은 침실 창문 쪽이 최고다 침실에서 중요한 것은 잠자는 방향이다. 잠자는 방향에 따라 남편의 직업운은 물론 가정운 전체가 좌우되기 때문. 침대 방향은 남쪽이 좋다고 알고 있는데, 그것보다 더 좋은 것은 방향에 상관없이 침실 창문 쪽으로 침대 머리를 두거나 침실 방문을 약간 대각선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불가피한 경우에는 침대를 창문과 나란히 놓는 것도 괜찮다. 단, 이때는 반드시 창문 쪽 벽과 침대 사이에 공간을 띄워 스탠드나 협탁을 둘 것. 차가운 시멘트 벽에서 나오는 해로운 기가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반드시 피해야 할 방향은 출입문 쪽과 주방 쪽, 화장실 쪽, 북쪽으로 침대머리를 두는 것. 출입문을 향해 머리를 두고 자면 건.. 2022. 12. 30. 윤도장(輪圖匠) 지남 김종대 선생님 패철 중요무형문화재 제110호 윤도장 (輪圖匠) 지남(指南) 김종대(金鍾大) 선생님 패철 작품 (2006년) 2022. 12. 15. 양택패철(陽宅佩鐵) 사용법 陽宅佩鐵(양택패철) 사용법 陽宅(양택)은 인위적으로 담을 쌓아서 藏風(장풍)을 하고 내부구조 배치 역시 인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五行(오행)상의 방위 에너지를 최대한 善用(선용) 한다. 양택 패철법은 패철 제4선의 24방위를 다음의 동서사택 팔괘방위도 및 팔괘 방위도표와 같이 세 글자 방위를 한조로 묶어 한개 방위로 하여 모두 여덟 방위로 사용하며 이것이 周易(주역)의 八卦方位(팔괘방위)다. 이 팔괘 방위로서 東舍宅(동사택), 西舍宅(서사택)이 결정되고 그에 따른 대문 또는 출입문의 방향이 선택된다. 내부구조 배치는 건물내부의 중심인 거실을 기준으로 하여 오행에 맞는 배치를 한다면 입체에너지의 이상적 善用(선용)이 된다. 대문의 선택은 건물의 좌향이 동사택인가 서사택인가에 따라 선택해야 하고 건물의 좌향.. 2022. 12. 15. 풍수지리 학파와 계보 [풍수지리 학파와 계보] 1. 통맥법 : (통맥법+형기풍수+이기풍수) (1) 박은상, 정인태 : 제자 박광서 (2) 박광서(광주, 호 : 노산, 한국통맥풍수지리학회 이사장): 저서=《通脈正經》 -한국통맥풍수지리학회(http://cafe.daum.net/tongmaek) (다음 카페) 1) 제자 : 홍갑의, 정한채, 공기영, 위계방, 임용철, 고광혁, 신기수, 박진원, 박상대, 윤갑원 김상윤, 박상천, 강상수, 김병수, 강병학, 박상주, 통명스님, 이재창, 2) 윤갑원(서울, 노산의 제자): 저서=《정통통맥지리》 (3) 이 ? ? : 제자는 평산, 성오, 박상수, 윤갑원 (4)이명석(상주) : 저서=《명산의 혈을 찾아서(喬山金斗經)》 *통맥법을 하는 지사들 사이에도 통맥법의 이론의 일부는 서로 다르다. 2.. 2022. 12.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