火風鼎님 한글과 성명학 강의록
출처 ; 화풍정의 명리신탐 ( 火風鼎님_한글과 성명학 강의록 2020.10.23 ) ▶한글과 성명학 강의 1. 한국의 역사와 구조…1주차 2. 이름으로서 한글, 작명…2주차 ▶한글의 구조와 자음, 모음이 갖는 의미, 그들의 조합에 의해서 소리의 담긴 의미를 알아보고,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이름을 구성하는 조건들을 분석해 보려고 한다. ◈ 訓民正音의 주요 사건 중심의 역사 세종 正音, 1443년에 제정, 1446년에 훈민정음이라는 책의 형태로 해례를 포함해서 반포 『훈민정음』 구성 ①어제, 세종대왕 서문. ②예의 한글자모의 정의와 문자구성, 방점에 대한 간략한 해설. ③훈민정음解例, 한글의 제자원리 등,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해로 구성. ④정인지 서문, 세종대왕 서문과 구별하..
2022. 1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