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좋은 이름이 성공한 인생을 만든다"

분류 전체보기407

지역의 붕괴와 지방대의 소멸 - 권순긍 > 다산글방 > 다산포럼 지역의 붕괴와 지방대의 소멸 ​ 글쓴이 권순긍 / 등록일 2023-12-26 ​ ​ 1543년(중종 38) 풍기군수였던 주세붕(周世鵬, 1495~1554)이 유생들의 교육을 위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한 것이 우리나라 서원의 시작이었다. 그 뒤 1550년(명종 5) 풍기군수로 부임한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2~1571)의 요청에 의해 당시의 국왕이었던 명종은 친필로 "이미 무너져버린 학문을 다시 이어 닦게 한다[旣廢之學 紹而修之]"는 의미의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 사액(賜額)을 내리고 아울러 ‘사서오경(四書五經)’과 『성리대전(性理大全)』등의 서적과 노비도 하사했다. 학문의 도야와 후진 양성을 통해 지식 공동체를 만듦으로써 향촌사회를 교화하고 나아가 장래 정치를.. 2023. 12. 26.
반수와 N수 - 김진균 > 다산글방 > 다산포럼 반수와 N수 ​​ 글쓴이 김진균 / 등록일 2023-12-19 ​ ​ 전국에서 의대를 가장 많이 보내는 학교는 어디일까? 서울대. 그렇다면 서울대를 가장 많이 보내는 학교는? 연고대. 이어가기 씁쓸한 농담이지만 거의 사실이 된 듯하다. 올해도 여지없이 장기결석 학생들 중의 일부가 수능 끝난 뒤 기말고사 시간에 나와 멍한 표정으로 백지 답안지를 냈다. 수업일수 1/3 이상 결석자에게는 학칙상 성적을 부여할 수 없다는 점을 알려주면, 잠깐 눈동자만 흔들릴 뿐 멍한 표정에는 변화가 없다. 대부분 휴학 없는 반수에 실패한 학생들이라 F학점이 얹힌다 해도 좌절감이 더 커지는 것도 아닐 것이며, 지금 머릿속에는 내년에 기필코 성공하겠다는 생각뿐이리라. ​ 대입제도는 왜 이 모양일까 ​ 올해.. 2023. 12. 20.
중인 천문학자의 북학(北學), 또는 “국제적” 과학 교류 - 임종태 > 다산글방 > 풀어쓰는 실학 이야기 중인 천문학자의 북학(北學), 또는 “국제적” 과학 교류 ​​ 글쓴이 임종태 / 등록일 2023-12-18 ​ ​ 오늘날 과학은 인간 사회의 다른 어떤 문화 영역보다도 국제적인 성격을 띤다. 과학자들은 국제적 과학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연구를 교류하고 자신의 성과에 대한 국제 학계의 인정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적어도 규범적 차원에서 “과학에는 국경이 없고”, 과학자들은 학문적 능력과 성취 이외의 다른 정치적, 문화적 기준으로 차별받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가 다루고 있는 조선 시기에는 아직 국경을 넘어서는 과학자들의 공동체가 존재하지 않았고, 그들 사이의 교류를 규정하는 규범도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과학자들의 국제적 교류라고 볼 만한 일이 아예 없지는 않았지만.. 2023. 12. 20.
인과응보 인과응보 ​ ​ 사람들은 약간만 늘어져도 그 본성을 쉽게 드러낸다. 그러니 하늘과 땅이 운수를 통해서 휘두르기 좋다. 사람들은 그 근본이 잘 바뀌지 않는다. 사람들은 종노릇하는 종교를 좋아하니 자신의 본래 가치를 찾는것을 즐겨하지 않는다. 그러니 솔직히 말하면 천박해지기 쉽고 고귀해지기 어렵다. 그 결말은 뻔하다. 결국 그 찾은 가치만큼 누린다. 왜 세상은 영원한 이상세상이 되지 못할까? 그것은 바로 사람이 가진 성품이 쉽게 휘둘리기 때문에 그런것이다. 사람은 대부분 너무 가볍다. ​ 수행이 어려운것은 이런것을 극복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서양 영화가 보여주는 마블시리즈처럼 초인이 우연처럼 능력으로 가져지는것이 아니라 동양의 철학을 바탕으로 보면 성품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리석게도 사람들은 성.. 2023. 12. 14.
<서울의 봄>, 그 겨울의 거울 - 정근식 > 다산글방 > 다산포럼​ , 그 겨울의 거울 ​​ 글쓴이 정근식 / 등록일 2023-12-12 ​ ​ 12.12 군사쿠데타가 일어난 지 44년, 이 사건의 아스라한 기억을 일깨우는 영화 이 수백만 시민들의 가슴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따뜻한 봄이 아닌 추운 겨울, 그날 저녁부터 이튿날 새벽까지 불과 9시간 동안 일어난 군 내부의 권력투쟁을 다루고 있는 이 영화는 국가에 대한 충성이나 진정한 군인의 용기가 무엇인지, 그리고 진실의 역사는 어떻게 쓰여지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 주지하듯이 이 사건은 한국의 1980년대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를 결정한 것으로, 다시 한번 국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배반하고 군사독재를 연장시킨 분기점이었다. 어쩌면 당시의 사회구조가 군사독재로부터 민주주의로의 급진적.. 2023. 12. 14.
‘개화 실학’의 의미를 찾는 역사 탐험 - 노관범 > 다산글방 > 풀어쓰는 실학이야기​ ‘개화 실학’의 의미를 찾는 역사 탐험 ​ 글쓴이 노관범 / 등록일 2023-12-11 ​ ​ 학문의 기초는 언어 이해이다. 혹시 다음 네 음절은 어떻게 읽으면 좋을까. 개. 화. 실. 학. 이것은 얼른 보기에도 ‘개화실-학’이나 ‘개-화실학’보다는 ‘개화-실학’으로 읽는 편이 나을 것 같다. 그러면 ‘개화-실학’의 뜻은 어떻게 새기면 좋을까. 개화도 역사 교과서에서 보이는 어휘이고 실학도 역사 교과서에서 보이는 어휘이다. ‘개화·실학’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개화와 실학을 빨리 말하다 보면 개화·실학이 될 수도 있다. 마침 개화와 실학 하면 여기에 들어맞는 사람도 있다. 실학파의 후손이자 개화파의 스승 하면 떠오르는 인물. 박규수, 바로 그 사람이다. 인물 맞추기 .. 2023. 12. 14.
일쾌사, 참으로 유쾌하고 기쁜 일 - 송혁기 > 다산글방 > 다산포럼 일쾌사, 참으로 유쾌하고 기쁜 일 ​ ​글쓴이 송혁기 / 등록일 2023-12-05 ​ ​ 갖고 싶은 장난감을 손에 쥐기만 해도, 가고 싶던 놀이공원에 발을 들이기만 해도 더없이 즐겁던 어린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살아온 연수가 더해지고 걸쳐진 관계가 복잡해질수록, 마냥 유쾌하고 기쁘기만 한 일은 점차 드물어진다. 그러고 보니 근래 들어서 유쾌하다, 기쁘다는 말을 입에 올리거나 귀로 들어본 기억도 흐릿하다. 사회, 정치적으로 암담하고 답답한 일들이 많아서, 아니 그보다도 다들 당장의 민생고로 인한 걱정 때문에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먹고 살기 훨씬 더 팍팍했을 조선시대, 참으로 유쾌하고 기쁜 일이 있으면 ‘일쾌사(一快事)’라고 표현하곤 했다. 박사호는 힘겨운 사행 길에 청심환 .. 2023. 12. 5.
진리탐구에 생을 걸었던 다산 - 박석무 > 다산글방 > 풀어쓰는 다산이야기 진리탐구에 생을 걸었던 다산 ​​ 글쓴이 박석무 / 등록일 2023-12-04 ​ ​ 한 인간이 젊은 시절의 꿈과 희망을 놓아버리지 않고 죽을 때까지 온 정성을 바쳐 그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참으로 굳은 의지와 큰 용기를 지닌 사람이 아니고는 결코 그럴 수가 없습니다. 『사암선생연보』라는 다산의 인생을 연대별로 소상하게 기록한 다산의 연보를 읽어보면 다산이야말로 학문연구로 진리를 탐구해내겠다는 젊은 날의 꿈과 희망을 전혀 놓지 않고 운명하던 그날까지 온갖 노력과 정성을 바쳐 진리탐구에 생을 걸었던 사실을 바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내 나이 스무 살 때는 우주의 모든 일을 다 깨닫고 그 이치를 완전히 정리하고 싶었다. 서른·마흔 살이 .. 2023. 12. 4.
좌익(佐益)도 우익(右益)도 아닌 우리 고유의 홍익(弘益)으로 나라를 구하자 - 이기영 > 다산글방 > 다산포럼 좌익(佐益)도 우익(右益)도 아닌 우리 고유의 홍익(弘益)으로 나라를 구하자 ​ 글쓴이 이기영 / 등록일 2023-11-28 ​ ​ 요즘 우리 대한민국은 해방 직후처럼 좌우로, 동서로 양분돼 정당은 물론 한집안 식구들끼리도 그야말로 이념싸움의 격랑에 휘말려 있다. 역사를 돌이켜보면 우리 한민족은 외침에는 3·1운동 등 국민들의 하나 된 저항의식으로 강하게 대응했으나 백제나 고려, 조선 등 국운이 쇠할 때는 대부분 지배욕 싸움으로 인한 내부분열로 자멸하였다. 지금도 내부분열로 대한민국이 좌우로 쪼개져 자칫 잘못하면 내전이 걱정되는 상황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서구유물론에 바탕을 둔 좌우 이념대립보다 대한민국이 한 몸이라는 우리만의 고유한 영성적 홍익정신을 되살려 .. 2023. 11. 28.
그래서 내가 이렇게 하는 것이오 - 심경호 > 다산글방 > 풀어쓰는 실학이야기 그래서 내가 이렇게 하는 것이오 ​ 글쓴이 심경호 / 등록일 2023-11-27 ​ ​ 10월 26일, 보스톤에서 기차로 뉴욕에 도착하여 웨스트 46번가 파라마운트 호텔에 묵었다. 로비는 어두웠다. 표정을 알 수 없는 사람들이, 쿠션에 묵묵히 앉아 있거나, 둘씩 셋씩 모여 두런두런하거나, 넓은 소파에 비스듬히 누워 있다. 꼭 숙박객들도 아니었다. 쉴 곳 없는 대도회지에서 작은 안식처를 가까스로 찾은 이방인들이었다. 그들 사이로, 검은 양복에 흰 셔츠, 넥타이를 갖춰 입은 안내인이 몸을 꼿꼿이 세우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고 있다. 사내의 검은 구두가 전등 아래 이따금 빛이 났다. ​ 흰 얼굴, 짧은 머리, 느릿느릿한 몸놀림은 뮤직 비디오의 바텐더를 떠올리게 했다. 카운터에.. 2023. 11. 27.
확장된 문해력과 인문학의 재정의 - 김재인 > 다산글방 > 다산포럼 확장된 문해력과 인문학의 재정의 ​ 글쓴이 김재인 / 등록일 2023-11-21 ​ ​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는 챗GPT를 놓고 ‘하이테크 표절’이라 규정했다. 이런 진단은 향후 논의의 방향을 ‘표절’의 문제로 몰아갔다. 솔직히 말해 챗GPT의 등장을 신기술 환경에서 ‘글쓰기’의 본질이 무엇이고 교육에서 글쓰기가 ‘무슨 소용이 있는지’를 논하는 계기로 삼았어야 했다. 또한 ‘읽기와 쓰기’를 중심 활동으로 삼는 인문학의 현재 위상을 살피고 혹 필요하다면 어떻게 재정의되어야 할지 논했어야 했다. 오늘날 인문학은 두 개의 구별되는 활동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며 정체성을 잃은 것 같다. 요컨대 우리가 현행 대학 제도에 익숙한 나머지, 그걸 기본값으로 삼으면서 ‘학문 연구’와 ‘교육’을 분리하.. 2023. 11. 24.
『번암집(樊巖集)』 : 조선의 ‘글값’은 자손 몫의 후불제 - 김학수 > 다산글방 > 풀어쓰는 실학이야기 『번암집(樊巖集)』 : 조선의 ‘글값’은 자손 몫의 후불제 ​ 글쓴이 김학수 / 등록일 2023-11-20 ​ ​ 병호시비가 치열함을 더해가던 1823년 7월 영남유림이 도산서원에서 도회를 개최했다. 안건은 ‘도산시사단비(陶山試士壇碑)’ 중건에 따른 임원 구성 및 재정조달책을 논의하는 것이었다. 본안을 처리하기가 무섭게 좌중에서 누 군가 『번암집(樊巖集)』 간행을 발론하였다. 사전에 입을 맞춘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 두 사업의 주인공은 채제공이었다. 채제공에 대한 영남유림의 보은사업은 이런 과정을 통해 단초를 열었고, 이것은 경남·영남 제휴의 또 하나의 명장면으로 기억되기에 충분했다. 당초 정약용(丁若鏞)과 이가환(李家煥) 등의 교정을 거친 『번암집』은 정조의 특별.. 2023. 11. 24.
사람도 후숙이 된다면 - 임철순 > 다산글방 > 다산포럼 사람도 후숙이 된다면 ​ 글쓴이 임철순 / 등록일 2023-11-14 ​ ​ 나는 감나무를 좋아한다. 어려서 살던 고향 집 마당 끝에는 잎이 넉넉하고 풍성한 감나무가 한 그루 있었고, 그 나무의 그늘은 나만의 호젓한 공간이었다. 악을 무찌르는 정의의 사도가 됐다가, ‘삼국지’의 조자룡이 됐다가, 비운의 사랑에 절망하는 주인공이 됐다가 알 수 없는 먼 곳으로 떠나가는 내 공상을 감나무는 다 지켜보며 응원해 주었다. 도글도글 떨어진 감꽃은 어디론가 영원으로 통하는 꽃처럼 신비해 보이기까지 했다. 잎과 그늘 열매가 다 고마운 감나무 철든 뒤에 안 일이지만 감나무 잎은 넓고 커서 글씨를 쓰기에 좋은 재료다. 종이가 없어 감잎에 글씨를 쓰며 공부한 옛사람들의 이야기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2023. 11. 14.
작명에서 발음오행 ‘水와 土’…‘훈민정음 해례본’을 적용해야 하는 이유 작명에서 발음오행 ‘水와 土’…‘훈민정음 해례본’을 적용해야 하는 이유 ​ ​ ​ ​ ​ 훈민정음 창제원리와 소리오행 ​ ​ 우리나라 성명학에서 가장 논쟁이 심한 것은 역시 우리말 발음오행에 관한 것이다. 이데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면 먼저 소리가 먼저인지 글이 먼저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각 민족의 경우, 소리가 먼저 있었고 그 다음에 문자가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 우리 민족 역시 우리 땅에 존재할 때부터 소리가 먼저 있었다. 그 다음에 문자가 있었다. 우리 민족은 소리를 표기할 문자가 없을 때 한자를 가차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한글을 창제한 이후 우리는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꾸준히 한글을 사용하고자 노력해 왔다. ​ 우리나라의 .. 2023. 11. 13.
훈민정음에서 한글로…(훈민정음 해례본 해석) 훈민정음에서 한글로... ​ 들어가는 글 오늘이 훈민정음이 반포된지 577주년 되는 한글날이다 1446년 창제된지 3년 후 훈민정음이 반포된 바로 그 날이다 이런저런 행사들도 많고 곳곳에서 이 날을 기념한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만든 업적으로 성군으로 추앙된다 오늘 오전에 한글날과 훈민정음에 관련된 이런 저런 글 들을 새로 검색하여 자유게시판에 몇 개 올렸다 며칠 전에도 한글날이 다가오길래 글을 몇 개 자유게시판에 올렸다 그리고 예전 한글날에 써 놓았던 글을 읽다가 지난 며칠 그리고 오늘 읽은 글 들을 함께 섞어서 올리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 작업이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그리고 시간이 많이 걸렸다 개인자료실에서 글을 새로 작성하여 이 곳으로 옮겨다 놓고 읽어보니 영 마음에 들지 않아서 몇 번씩.. 2023.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