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원표와 박은식, 숭실(崇實)의 메시지 - 노관범
> 다산글방 > 풀어쓰는 실학이야기 유원표와 박은식, 숭실(崇實)의 메시지 글쓴이 노관범 / 등록일 2024-02-26 우리나라 대학 이름에는 나라 이름과 지역 이름이 많다. 나라 이름의 경우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고려’, ‘조선’ 등이 있다. 별칭까지 포함하면 ‘동국’과 ‘단국’도 넣을 수 있겠다. 지역 이름의 경우 헤아릴 수 없이 많은데 대개는 ‘서울’, ‘수원’, ‘강원’, ‘제주’ 등등 시·도 지자체 이름이다. 이색적인 이름으로 ‘서강’과 ‘인하’가 있다. 서강은 서울을 흐르는 한강 삼강(三江)의 하나인데 한강·용산강과 달리 대학 이름으로 진입했다. 인하는 인천과 하와이가 결합한 신조어인데 옛날 같으면 인하 대신 인포라 했을지 모른다. 현순 목사의 『포와유람기』..
2024. 2. 26.
정덕(正德)·이용(利用)·후생(厚生)을 생각한다 - 함영대
> 다산글방 > 다산포럼 정덕(正德)·이용(利用)·후생(厚生)을 생각한다 글쓴이 함영대 / 등록일 2024-02-06 이용후생론의 유래 조선 후기 실학의 중요한 명제였던 이용후생론은 그 유래가 깊다. 중국 고대의 성왕인 우(禹)가 신하의 신분으로 순임금에게 정치의 요체를 말하면서 한 말이다. 옳은 정치는 오직 덕으로만 할 수 있고, 정치의 요점은 백성을 보호하는 데 있는데 이를 위해 물과 불, 나무, 광물, 흙, 곡식을 잘 운용하여, 덕을 바로 잡고〔正德〕, 쓰임을 이롭게 하며〔利用〕, 삶을 풍요롭게 하라〔厚生〕고 진언했다. 송대학자 채침은 생활의 언어로 이를 다시 설명했다. 이를 테면 “정덕은 어버이의 사랑, 자식의 효도, 형제의 우애, 남편의 의로움과 아내의 순종이, 백성의 덕을 바로..
2024. 2. 7.